영화 <기생충> 리뷰 | 부자와 가난한 자의 이야기 |

반응형

1. 줄거리

상하 무빙을 통해 부자와 가난한 자를 절묘하게 묘사한 영화이다.

기택 가족은 백수로 생계유지에 대한 어려움을 겪는다. 반지하 방에서 살지만 온 가족이 현재 어려운 여건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어느 날 친구 민혁이 소개해 준 아르바이트 자리로 인해 거짓으로 시작했지만 높은 수익을 가족 모두가 가지게 된다. 하지만 기존에 자리 잡고 있던 문광과 근세로 인해 새로운 변수가 생기게 된다.

 

- 돈으로 인해 서열, 계급으로 나누어진다.

- 부자들은 선(Line)을 넘는 사람들을 싫어한다.

2. 결론

부자와 가난한 자의 차이는 단순한 돈이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다. 오늘날의 부는 인간들의 서열 또는 계급으로 이어지고 나누어진다. 그래서 부자들은 가난한 자들이 선을 넘어오는 것을 싫어한다. 하지만 돈이 많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니다. 돈으로 가난한 자들의 노동력을 사서 자신의 편안함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가난하면 1부터 10까지 해야 할 일이 정말 많다는 것이다. 부자는 그 해야 할 일들을 가난한 자들에게 돈을 주어 해결한다. 역설과도 같다. 가난한 자들이 부자들이 필요한 것처럼 부자들 또한 가난한 자들이 필요하다. 하지만 같은 인간이기에 차별을 두고 싶지 않은 것이 가난한 사람들의 마음이다. 오늘날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지식 면에서 부자와 가난한 자들의 차이가 크지 않다. 세종대왕님 이전에 백성은 가축과 같아서 글을 알면 안 된다고 단정 지었다. 그래서 글을 배우는 백성들에게 엄하게 다스렸다. 성욕을 해결하지 못해 서자가 태어나서 그들이 글을 읽게 되어도 그들은 글을 하는 가축처럼 취급을 받았다. 부자들에게는 안타깝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부자는 강인한 존재도 아니며 고고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모두가 알게 되었다. 그래서 부자들이 그토록 싫어하던 선을 넘는 가난한 자들이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많은 지식으로 인해 가난한 자들도 부를 가지게 되었고 중산층의 탄생과 부자들의 전유물이었던 좋은 집 좋은 차도 가난한 자들이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영화에서 기택 가족은 박 사장 집에서 다양하게 수익을 얻는다. 이대로 10년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기택 가족은 가난한 삶에서 벗어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적어도 월 일천만 원은 벌었을 테니까 10년이면 10억 이상) 이 모습을 부자들은 어떻게 바라보았을까? 물론 기택 가족이 노동력이 없이 돈을 번 것도 아니다. 정당하게 일하고 돈을 벌었다. 하지만 부자들의 시각에서는 정당한 노력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부자들의 논리에서 보면 상하 관계가 바뀌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작은 돈을 지급하고 싶어 하고 그들이 대등한 관계로 올라오는 것을 정말 싫어할 것이다. 역설과도 같다. 회사에서 사람들이 열심히 일을 해서 돈을 벌고, 회사의 가치가 올라간다. 회사의 이윤은 그 회사를 만들었던 대표에게 더 많은 부를 제공한다. 하지만 능력 있는 사람들이 더 많은 연봉을 원하게 되고 회사와 노동자 사이에 갈등의 대립이 형성된다. 부산에서는 노조가 없다. 형식적인 노조가 있을 뿐이다. 그래서 부산에서 일을 할 때는 한 번도 OT를 받아 본 적이 없다. 하지만 전라도에서 일을 할 때는 OT를 못 받은 적이 한 번도 없다. 다른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가난한 사람이 열심히 일을 해서 돈을 벌고 중산층이 되었는데, 이제는 후배들 사다리를 치워버리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넘지 말아야 하는 선을 넘었다는 말은 인간의 계급이 다른데 왜 그 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위로 올라와서 우리를 화나게 만드는가를 뜻한다. 참 우스운 일이다. 같은 사람끼리 계급을 만들어서 이용하고 버릴 생각을 하니 말이다. 하지만 정말 조심해야 할 것은 부자들의 분노이다. 지금 수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지식을 통해 돈을 벌고 있다. 이러한 상황들을 부자들이 가만히 보지 않을 것이다. 주의하라. 그리고 욕심과 탐욕에 눈이 멀어 주위 상황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절대 놓치지 마라. 그렇지 않으면 당신이 노력해서 쌓은 것들이 한 번에 없어질 수 있다.

3. 출연진 & 배역

- 송강호 기택 역

- 이선균 동익 역

- 조여정 연교 역

- 최우식 - 기우 역

- 박소담 기정 역

- 이정은 문광 역

- 장혜진 충숙 역

4. 기본 정보

- 개봉 2019.05.30.

- 등급 15세 관람가

- 장르 드라마

- 국가 대한민국

- 러닝타임 131

- 배급 CJ ENM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